열 세개의 사과, 그리고 선인장꽃 2009, 05
삼십여 년 전, 지금의 아내와 그녀의 가족들은
서울에서 시흥으로 넘어가는 독산동 고갯마루에 옹기종기 모여 있던
어느 작은 아파트에 살고 있었습니다.
그 집 식구들이 이불을 펴고 누우면 남은 자리가 없을만큼 아주 작은 아파트였자만,
그 곳에 살고 있던 그녀의 가족들은
세상의 누구보다도 큰 입과 큰 얼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왜냐구요?
늘 큰 웃음과 사랑으로 얼굴을 활짝 펴고 살았으니까요.
그 집에 들어 서면 , 갖가지 색깔의 풍선이 둥둥 떠 다니는 것 같았습니다.
그녀의 집은 김용택 시인의 ‘그 여자네집’이라는 시를 연상하게 해 줍니다.
누구나 밥상에 둘러 앉아 같이 밥 먹고 싶어지는,
따스함이 배어나오는 그런 집이었습니다.
어느 가을 날,
느지막히 들이닥친 제게,
잠깐 앉아 놀라고 하시고는,
그녀의 어머니는 밖으로 나가셨습니다.
대접할 것이 마땅치 않은데,
예고도 없이 들이닥친 저때문에 적잖이 당황하셨을 그녀의 어머니 마음을
이제사 조금 짐작할 뿐입니다.
잠시 후 돌아오신 그녀 어머니는 가슴에 사과 한 봉지를 안고 계셨습니다.
미안한 표정을 지으시면서, ‘사과 좋아하냐’고 물으셔서
얼떨결에, ‘그럼요’하고 대답했습니다.
봉지 밖으로 모습을 드러 낸 사과들은,
골목에서 구슬치기 하고 놀던 조무래기들의 주먹처럼이나 작고 볼 품이 없었습니다.
아파트 안에 있는 작은 구멍가게에서 서둘러 사 오신게 분명했습니다.
깎아주시는 사과를 처음엔 인사치레로, 맛있다는 표정을 지어가며 먹었는데,
신기하게도 진짜로 단 물이 배어나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모르는 사이에, “하나 더 깎아 주세요.”라는 말이 튀어 나왔습니다.
건네 주시는 사과를 베어 물었는데, 그렇게 달 수가 없었습니다.
아마도 그녀의 어머니는 사과에 마법을 거셨던 게 틀림 없습니다.
그래서 말없이 깎아 건네 주시는 달디 단 사과를 저도 말없이 꾸역꾸역 받아 먹었습니다.
저는 그 날, 사과를 Baker’s Dozen* 만큼이나 먹었습니다.
배도 배지만, 마음도 풍선처럼 그렇게 불러 왔습니다.
그날 이후, 나는 내 뜻과 상관 없이 사과를 좋아하는 사람이 되었고
지금도 사과를 먹을 때면 그때의 행복했던 기억도 함께 먹습니다.
작고 못생긴 사과를 대접하시면서,
미안한 마음으로 간절히 마법을 거셨던 그녀의 어머니를,
지금은 나도 어머니라고 부릅니다.
나는 그녀와 한 식구가되어 같은 밥상에 둘러 앉아 밥을 먹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어머님의 사과 깎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단지 사과를 깎아 주셔야 할 대상이
이젠 사위, 며느리,딸 아들, 그리고 손주들까지 합치면,
거의 서른 명에 가까와서, 그만큼 손놀림이 더 바빠지신 게
그 때와 지금의 차이라면 차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작년 십 이월 초, 장인 장모님께서 멀리 Arizona에서 이곳을 다니러 오셨습니다.
식구들 모두의 성탄 파티를 위해서입니다.
도착하시면서 짐가방에서 보따리를 하나 풀어 놓으셨는데,
마치도 삼십여 년 전, 그 사과 봉지를 떠올리게 해 주는 종이봉투였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장이 좋질 않아 고생하는 큰 사위를 위해,
선인장 꽃을 따서 얼려 가지고 선인장 꿀과 함께 들고 오신 겁니다.
선인장 꽃즙과 선인장 꿀을 함께 타서 마시면
,배 아픈 데 좋다는 민간 요법을 어디선가에서 전해 들으신 게지요.
어머니께서 선인장 꽃을 몇 날 며칠 걸려서 따셨는 지 나는 모릅니다.
그렇지만 Arizona의 무공해 땡볕 아래에서,
꽃잎 하나하나마다 마법을 거시면서 정성 들여 따셨음을 저는 압니다.
마치 사과를 깎으시던 마음으로 말입니다.
나는 요즘 아침 저녁으로 선인장 꽃즙을 마시고 있습니다.
머지 않아 아픈 배가 낳으리라는 것을 의심치 않습니다.
작고 볼 품 없는 사과를 맛난 사과로 바꾸어 놓으신 어머님의 손은
틀림 없이 선인장 꽃도 약으로 바꾸어 놓으셨을 테니까요.
어머니의 손은 약손이며 마법의 손입니다
"Thirteen Apples and Cactus Flowers" (May 2009)
About thirty years ago, my wife and her family lived in a small apartment perched on the ridge of Doksan-dong, a neighborhood that bridges Seoul and Siheung. The apartment was so tiny that when all the family members laid down their bedding, there was hardly any space left. Despite the modest size, the family living there seemed to possess the biggest smiles and the warmest faces in the world. Why? Because they lived with constant laughter and love, radiating warmth from their very being.
Stepping into that home felt like walking into a room filled with colorful balloons gently floating around. It reminded me of the poem "The Woman's Home" by poet Kim Yong-taek. It was the kind of home that made you want to sit around the table and share a meal, where warmth overflowed from every corner.
One autumn day, I visited them unexpectedly, and her mother kindly invited me to sit and rest while she stepped out. I can only imagine now how flustered she must have been, trying to host an unannounced guest without much to offer. After a short while, she returned, carrying a bag of apples in her arms. With an apologetic smile, she asked, “Do you like apples?” Startled, I answered, “Of course!”
The apples, peeking out of the bag, were small and unremarkable, like the fists of children playing marbles in an alley. It was clear she had quickly bought them from a tiny shop in the apartment complex. At first, I politely ate the apple slices she handed me, pretending to enjoy them. But to my surprise, they truly began to taste sweet, as if their juices carried an inexplicable magic. Before I knew it, I blurted out, “Could I have another one, please?”
As I bit into another apple, its sweetness astonished me. Her mother must have enchanted the apples somehow. Without saying a word, she kept peeling and handing me the sweet apples, and I, equally wordless, kept eating them. That day, I ended up eating nearly a baker’s dozen of apples. My stomach was full, but so was my heart—like a balloon filled with joy.
Since that day, I have become a fan of apples, not by choice but by memory. Even now, whenever I eat apples, I relive the happiness of that moment. Offering those small, unassuming apples, her mother had infused them with care and a touch of magic. Today, I call her "Mother," for I became part of her family, sharing meals around the same table with her daughter and everyone else. Her tradition of peeling apples continues, though now her hands are busier than ever, as she prepares apples for nearly thirty family members, including sons-in-law, daughters-in-law, children, and grandchildren.
Last December, my in-laws visited from faraway Arizona to join our family Christmas celebration. Among their luggage, my mother-in-law brought a small paper bag that reminded me of that apple bag from thirty years ago. Inside were cactus flowers, frozen and carried with care, along with cactus honey. She had heard from somewhere that mixing cactus flower extract with cactus honey is good for an upset stomach and had painstakingly gathered the flowers for me, her eldest son-in-law, who struggles with digestive issues.
I don’t know how many days she spent collecting those flowers, but I am certain she picked each one under Arizona’s pristine sunlight, pouring her heart into them as if casting a spell, just like she did with those apples.
Now, I drink cactus flower extract every morning and evening, confident that my stomach will heal soon. How could it not? The same hands that transformed plain apples into something magical must surely have turned the cactus flowers into medicine. My mother-in-law’s hands are not just gentle; they are magical hands.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넋두리 사흘치 (0) | 2015.06.04 |
---|---|
참된 자유 - 옛날 방송 원고 (0) | 2015.05.30 |
쉼은 숨이다 - Allen Town에서 (0) | 2015.04.30 |
아낌 없이 주는 나무 (The Giving Tree) (0) | 2015.04.29 |
일요일 아침 - 새로운 봄을 맞으며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