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이야기/내 눈으로 본 이탈리아

내 눈으로 본 이탈리아 - 로마 첫날 (Piazza del Campidoglio)

 

내 눈으로 본 이탈리아 - 로마 첫날  ( Piazza del Compidoglio)

 

 

 

 

 

 

사진을 찍고 길을 가다 보니 이런 건물이 보였다.

따로 떨어진 두 건물을 아치 모양의 구조물을 만들어 서로 이었다.

애초에 하나의 건물로 지을 수도 있었겠지만

사람들과 마차 같은 것들이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를 내기 위해

이런 수고를 한 것이다.

배려의 마음은 언제나 희생을 필요로 한다.

기꺼이 바치는 희생으로

세상은 얼마나 더 아름다워지는지 모른다.

 

 

드디어 나타난 광장.

마르쿠스 아우렐레우스 황제의 청동상이 보이고

한 무리의 관광객들이 가이드의 설명을 듣고 있다.

많은 사라들은 더위에 지쳐 그늘에 쉬고 있었다.

 

 

햇살이 강렬하게 내리 쬐는 광장 보다는

그늘에 더 많은 사람들이 앉아 있었다.

로마의 황제 이며 철학자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청동상만이

꿋꿋이 더위를 이겨내고 있었다.

명상가인 아우렐리우스는 더위에 관한 명상을 하고 있으리라 짐작되는데 글쎄-----

 

고등학교 3학년 때인가 국어 교과서에 실렸던 '명상록'을

떠 올려 보았다.

거의 40년이 되었다. 그 글을 읽은 지가.

 

 

덥긴 더운 모양이다.

 

 

결혼 할(?) 신랑 신부가

사진 촬영을 위해 이 곳을 찾은 모양이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저 젊은 예비 부부에게 무슨 의미일까?'

'그리고 나에게는?'

 

이런  깊은 철학적 명상을 하기엔 너무 더웠다.

 

아마 명상을 시작했더라면

가뜩이나 부족한 내 머리의 수분이 다 증발하고

로마 공항에서 만났던 고장난 버스처럼

연기를 풀풀 뿜어댈 정도로 더웠다.

 

 

광장의 다른 쪽 끝엔 넒든 계단이 있다.

 

 

다시 돌아와 가만히 보니

사람들이 앉아 있는

건물의 문 뒤로 무언가 보였다.

흰 석상.

들어가지 못하게 지키고 있었다.

따로 돈을 내고 들어가야 하는가 보다.

누군가가  석상에 눈길도 주지 않고 그 앞을 지나갔다.

 

 

갈라진 벽.

그 뒤의 유도화.

로마.의 인상 중 남는 것 중 하나가 이 꽃이다.

 

 

그리고 구석에 위치해서

사람들의 발길이 미치지 않는 곳에

목이 사라진 한 석상이 있었다.

 

로마 시대에도 참수형이 있어서

머리가 없는 상을 조각했나?

아님 세월이 지나며 부서진 것인가?

 

아루렐리우스도, 이 석상의 모델이 된 사람도

이미 이 세상 사람은 아니다.

 

황제가 죽음에 대해 했던 명상이 어렴풋이 기억나기는 한다.

 

 

계단을 내려 오는 두 사람.

남자가 여자의 손을 잡고 조심스레 길을 인도하는 장면.

더운 날 손에 땀띠날 것을 두려워 하지 않음이

곧 사랑일지니.

로마에서 여름에 손 잡고 다니는 사람은

진짜 사랑하는 사이라는 생각.

 

 

곳곳에 이런 물이 있어서

물도 마시고 빈 병에 물도 채우고.

물이 고마운 여름의 로마.

 

 

기회 있을 때마다 물을 채우고

또 마셔야 로마에서의 여름 날씨를 견딜 수 있다.

 

 

처제는 또 지도를 보고 있다.

 

다음 행선지, 다음에 할 일을 생각하는라

현재 내 주위를 둘러 보지 못한다.

내가 그렇게 살아왔다.

 

Carpe Diem!

 

나에게 참 많은 가르침을 주었던  'Dead Poet's Society'라는 영화에서

영어 교사 Keating이 학생들에게 했던 라틴어 경구.

 

지도는 나의 위치를 확인해주는 도구이다.

내가 어디 있는지 모를 때

지도는 아무 소용이 없는 종이 조각에 지나지 않는다.

 

내가 어디 있는지

내가 누구인지 알고서야

방향이나 장소가 의미를 갖기 시작한다.

 

그런데 나는 어디에 서 있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