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March 11, 1984 (written in 2015)

March 11, 1984 (written in 2015)

 

Today is March 11th.
It marks exactly 31 years since I first set foot on American soil.
It’s already been several years since the time I’ve lived in the U.S. has exceeded the time I spent in Korea.

31 years — such a long time.

I arrived in New York on a Sunday evening around 8 PM.
It was a bitterly cold day, with piercing winds.
It felt like a sign that the life of an immigrant ahead of me wouldn’t be easy,
but I was simply excited about the new world that awaited me.

Before I even had the chance to bask in the sweet dreams of newlywed life,
I was reunited with my wife, who had come to the U.S. earlier,
and I was overwhelmed with joy at the thought of meeting my first daughter, Soyoung,
who had been born two months before my arrival.
The freezing weather didn’t matter at all in the face of such excitement.

I started working the very next day after arriving in the U.S.
I spent six years working at a vegetable store as a so-called "produce boy."
And then came the 25 years of running the dry cleaning business that I still operate today.

Over the years, my family has grown.
Three daughters and two sons.
Two of my daughters have since married, adding two sons-in-law to the family.
And with my granddaughter Sadie, who was born two years ago,
and a grandson due in September of this year,
we could almost field a soccer team now.

When I came to the U.S., I had $1,000 in my hand.
After working for a month and saving my earnings, I combined it with that $1,000
to buy a Marantz audio system and a Canon camera.
(I still have both of them to this day.)

The fact that I could own a high-end stereo and camera — things I could never have dreamed of affording in Korea —
made me feel that coming to the U.S. was truly the right decision.
But even though I was able to own those things,
I barely had time to take pictures or listen to music.
Making a living took priority.
That’s the irony of immigrant life.

My plans to study were put aside when my second child was born the following year,
and then my third child came along the year after that.
Life in the U.S. became not about living, but about surviving.

There were times when I worked 360 out of 365 days in a year.
But working so much, with barely any time to spend the money I earned,
I managed to buy a house.
And my children grew up and became independent.

Not only did I acquire a visible asset — our home —
but I also gained an invaluable, invisible asset:
a family united by love and trust.
That asset is still growing even now.

I invested my dreams in my children’s growth.
So my dreams have not disappeared — they continue to grow through them.
I’ve become several hundred times wealthier than the money I brought to the U.S.,
and because of the love and respect I receive from my wife and children,
I live each day with happiness and gratitude.

In the end, America has been a land of opportunity for me.
And on this day, March 11th — the day that marked the beginning of that opportunity —
even after 31 years, I remember it and give thanks for it.

 

Two weeks ago at the Hudson River
Sunlight touched the frozen river.
I wished for the ice to melt.
When the frozen river melts, a path will open.
Sunlight has touched my life as well, opening a path and bringing spring with it.

 

3월 11일 1984년 (2015 년 글)

 

오늘은 3월 11일이다. 내가 미국 땅에 발을 디딘 지 만 31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에서 산 것보다 미국에서 살아온 햇수가 더 많아진 지도 몇 해가 이미 지났다. 31년이란 시간. 내가 뉴욕 땅에 내리던 날은 일요일 저녁 8시 쯤이었다. 칼바람이 몰아치던 아주 추운 날이었다. 앞으로 펼쳐질 이민의 삶이 그리 녹녹치 않으리라는 걸 암시하는 것 같았지만 난 그저 새로운 세상에 대한기대감으로 들떠 있었다. 신혼의 달콤한 꿈에 젖어보기도 전에 미국으로 떠난 아내를 다시 본다는터질듯한 기쁨과 내가 미국에 도착하기 두 달 전에 태어난 큰 딸 소영이를 만난다는 기대감 때문에 꽁꽁 얼어붙은 날씨 따윈 아무래도 좋았다. 미국 땅에 발을 딛은 바로 이튿날 부터 난 일을 시작했다. 속칭 야채가게 야돌이 생활 6년, 그리고 지금 하고 있는 세탁소 25년의 막이 오른 것이다. 그동안 식구도 늘었다. 딸 셋에 아들 둘, 그리고 딸 둘은 결혼을 해서 사위 둘이 우리 식구에 수를 더했다. 그리고 재 작년에 태어난 손녀 Sadie와 올 9월에 태어날 손주까지 합치면 축구팀 하나를 꾸려도 되는 숫자다. 내가 미국에 올 때 손에 들고온 것은 1,000 달러였다. 한 달 일을 해서 번 돈에다 그 천 달러를 합쳐서 Marantz라는 오디오와 canon 카메라를 샀다. (이 두 가지는 지금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감히 꿈도 꿀 수 없는 전축과 카메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내가 미국에 오길 정말 잘했다는 생각을 갖게 해주었다. 그러나 그런 걸 가질 수는 있었지만 사진을 찍거나 음악을 들을 시간을 거의 낼 수 없었다. 먹고 사는 일이 급했기 때문이었다. 미국 이민 생활의 아이러니인 셈이다. 공부를 하려던 마음은 둘째가 그 이듬 해에 태어 나고 셋째가 다시 한 해를 걸러 태어나면서 접었다. 그러니 미국에서의 삶은 생활이 아니라 생존의 수준이었다. 1년 365일 중 360일을 일 한 적도 있었다. 그렇게 돈 쓸 시간도 없이 일을 하다 보니 집도 한 채 장만했고 아이들도 다 커서 자립을 하게 되었다. 집(Home)이라는 보이는 자산 뿐 아니라 사랑과 믿음으로 하나 되는 가족의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지만 소중한 자산이 내게 생겨서 지금도 성장하고 있다. 나의 꿈을 아이들 성장에 투자한 셈이니 나의 꿈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지금도 계속 성장하고 있다. 미국에 올 때 가지고 온 돈의 몇 백 배의 부자가 되어있으니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고 나를 사랑하고 존경해주는 아내와 아이들 때문에 나라는 존재가 행복을 느끼며 살고 있다. 결국 미국은 내게 기회의 땅이고 그 기회가 시작되고 성장하기 시작한 3월 11일을 31년 이 지난 오늘에도 잊지 않고 기억하며 고마와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