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NewYork Phil

 

 

 

어젠 하루 종일 비.

선영이가 NewYork Phil 연주에 가지 않겠냐고 제안을 해서

아내와 함께 저녁 나들이에 나섰다.

링컨 센터 앞의 연주회 포스터에도

빗방울이 묻어 있었다.

그렇게 온 영혼까지 젖어 있었던 날.

 

지휘자는 Lorin Maazel.

box office에서 공연 시간이 다 되어서 산 티킷이라 그런지

무대 바로 밑, 맨 오른 쪽이 우리 좌석이었다.

고개를 왼 쪽으로 거의 80도, 위로 45도는 틀어야

지휘자의 모습이 보였다.

그 여파로 잠을 자고 난 오늘 아침까지도 목이 불편하다.

 

첫 곡은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

Bronfman

처음 보고 듣는 피아니스트였다.

 

내가 음악에 대한 편식이 심하고

과문한 탓이다.

어려서부터 유명했던  이 피아니스트를

오늘에서야 만났다.

58년 개띠에 육중한 체구.

돌 된 아이의 볼에 붙은 젖살처럼

그렇게 볼에 살이 오른 피아니스트가

빠르고 강하게 연주할 때면

어김없이 볼살이 출렁거렸다.

게다가 대개의 피아니스트들은 연주를 하면서

입을 웅얼거리는데

이 연주자도 예외는 아니어서

볼살 오른 어린 아이가

옹아리를 하는 것 같았다.

 

Lorin Maazel.

LP판으로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과

차이코프스키의 '비창'교향곡이 우리 집에 있다.

거의 40년이 되었다.

앨범의 표지에서나 보았던

바로 그 Lorin Maazel을 지척에서 보았다.

 

무대 바로 밑이라

그만큼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자리가 자리인 만큼

첫 줄에 앉은 제 2 마이얼린 주자들의 등과

더블 베이스 주자 몇이 보였고

지휘자 저 쪽의

제 1 바이얼리 주자들의 앞 모습이 나란히 보였다.

다른 악기 주자들은 그저 소리로만 보았다.

 

40여년 전  수염 깎은 자리가

파랗던 그가 아니었다.

지휘하는 모습이

열정적인 음악가가 아니라

사색하는 철학자 같았다.

 

머리는 빠지고

세월이 스쳐간 그의  이마엔

 세 겹 주름이 만들어내는 굴곡이 뚜렸했다.

그는 음악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사람들과 교감하는 것 같았다.

 

대학 1학년 때,

첫수업을 하시던 교수님 생각이 났다.

그 교수님은 자기를 교수라 하지 않고

'선생'이라 칭하곤 하셨다.

다리를 약간  저시고

머리가 하얗게 세신 그 교수님은 말씀하셨다.

 

"무슨 학문을 하든, 아니면 무슨 일을 하든

자기가 하는 일을 통해서 인간을 보고

세상을 볼 수 있으면

그 삶은 성공한 것이다."

 

음악을 들으러 가서는

음악을 듣지 못하고

지휘자와 피아니스트의 겉모습만 보고 돌아온 나는

달을 보라는데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쳐다보는 바보가 아닌가.

 

제대로 세상도, 사람도 바라볼 줄 모르고

그저 발 밑이나 쳐다보며

살아온 시간들이 아닌가.

 

사람을 보는 눈,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내 육신의 눈처럼

흐리기만 하다.

 

내 마음에도

종일토록

비만 무심하게

내렸던

어제.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오려는가  (0) 2013.02.09
한파 일기  (0) 2013.01.23
안개  (0) 2013.01.15
베이글(Bagel)과 비이글(Beagle)  (0) 2013.01.10
느리게 걷는 삶  (0) 201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