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마음 속 조약돌

마음 속 조약돌

오늘은 달리기 모임이 있는 날이다.

그런데 늦잠을 자고 말았다.

나이가 들어 늦잠을 자는 일이 거의 없는 나는

젊은 시절처럼 아침의 약속 시간에 맞추어 시계의 알람을 맞출 일이 없다.

아침 네 시나, 늦어도 다섯 시 이전에 저절로 눈이 떠지니 말이다.

 

"여보, 여섯 시가 넘었네!"

달콤한 꿈 속에 있는 나를 차마 깨우지 못하고 있다가

마침내 아내는 잠 속의 평화에 마침표를 찍었다.

아내는 부스스 눈을 뜨는 나를 보며 깔깔대며 웃었다.

얼마나 성실하게 잠을 잤으면 얼굴에 베갯자국이 진하게 남아 있어서

아내가 그걸 보고 웃음을 터뜨린 것이었다.

 

달리기 모임에 가기에는 영 여유가 없었다.

모이는 장소까지 걸어서 30분, 천천히 달리면 15 분에서 20 분 가량 걸리는 거리다.

그래서 오늘 달리기는 깔끔하게 포기를 했다.

" 걸으러 나갈래요?"

눈곱을 떼고, 얼굴의 베개자국은 확인하지도 않은 채 바닷가로 나갔다.

하늘은 포스터 칼라의 붉은색과 푸른색에 흰색을 얌전히 섞어 넣은 것처럼

은은한 빛을 띠고 있었다.

 

낚시꾼들과 개들을 데리고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바닷가로

하나 둘 모이고 있는 순간 둥근 해가 두둥실 지평선 위로 떠 올랐다.

잔잔한 바닷물에 발을 담그며 걷고 있을 때

바닷가 모래 위에 반짝이는 조약돌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엄지와 검지 손가락이 만나면 생기는 크기의 동그라미 크기의 조약돌이

물에 젖어 아름답게 빛나고 있었다.

그 조약돌을 주워 아내에게 보여 주었다.

"예쁘지?"

아내는 내 말에 동의를 하는 둥 마는 둥 하더니 대뜸 "이거 E에게 선물해야지."라고 하는 것이 아니가?

 

아내는 오늘 뉴저지로 가서 오랜 친구들을 만날 예정인데

그중 한 친구인 E에게 그 조약돌을 선물하겠다는 것이었다.

어찌 보면 흔하디 흔한 조약돌 중 하나를 선물하겠다니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아내는 그 친구로부터 오늘아침, 이런 문자를 받았다고 했다.

아내는 나에게 오늘 아침에 그 친구에게 받았던 문자 내용을 알려주었다.

나는 그제야 조약돌이 선물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마음으로 동의할 수 있었다.

 

"잔디밭 평평하게 고르고 김치 담고 맘이 좀 편해졌어요."

 

글의 맥락이 주는 앞 뒤의 힌트가 없어도

그 친구가 무언가 삶에서, 혹은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억센 파도를 최근에 얻어맞은 걸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그런 친구에게 조약돌은

마치 부처님의 *'염화시중'의 미소 같은 선물이 될 수 있을까?

 

진흙 속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불교에서 말하는 고해와도 같은 삶이 주는 상처를 이겨내고 있는 그 친구에게

조약돌은 어쩌면 상직적인 선물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약돌은 얼마만 한 시간 동안, 얼마큼 수의 파도에 부딪치고 시달리며

오늘 아침 반짝이는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났던 것일까.

 

내가 내민 조약돌을 보자마자 아내는 대뜸 E를 기억해 냈다.

조약돌을 그 친구에게 선물해야겠다는 아내는

아침에 친구에게서 받은 문자를 보고 계속 마음을 쓰고 있었음이 틀림없었다.

 

조약돌은 바닷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내의 마음속에서도 반짝이고 있었던 것이다.

아내의 친구 E가 조약돌을 건네 받을 때 미소 지을 수 있다면 좋겠다.

 

오늘 바다는 다른 어떤 때보다도 고요한 아름다움으로 빛이 나는 것 같았다.

 

 

**염화시중 (拈華示衆)**은 말로 통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1. 이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깊은 의미를 마음으로 전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불교의 가르침과 깨달음을 전하는 중요한 순간을 상징합니다.

염화시중은 더 나아가 이심전심(以心傳心)의 개념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심전심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진리를 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언어를 넘어서 마음의 깊은 곳에서 이해하고 공유하는 순간입니다. 이는 불교 수행자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이처럼 염화시중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깊은 의미를 마음으로 전하는 순간을 간결하게 표현한 표현입니다. 불교의 가르침과 깨달음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표현은 큰 영감을 주곤 합니다.

A Pebble in the Heart

 

Today is the day for our running club meeting.

But I ended up oversleeping.

As I’ve grown older, I hardly ever oversleep, so I don’t set an alarm like I used to when I was younger.

I naturally wake up around 4 a.m., or at the latest, before 5 a.m.

"Honey, it's past six o'clock!"

My wife, unable to bring herself to wake me from my sweet dreams, finally put an end to the peace of my sleep.

She burst into laughter as she watched me groggily open my eyes.

I must have been sleeping so soundly that the pillow left deep marks on my face, and that’s what made her laugh.

There wasn’t enough time to make it to the running club.

It takes about 30 minutes to walk to the meeting place, or 15 to 20 minutes if I run at a slow pace.

So, I decided to skip running today.

"Shall we go for a walk?"

Without even checking the pillow marks on my face, I headed to the beach, still wiping sleep from my eyes.

The sky was softly glowing, as if someone had gently mixed red and blue with white from a poster paint set.

As fishermen and people walking their dogs gradually gathered at the beach, the round sun began to rise slowly above the horizon.

As we walked with our feet dipped in the calm seawater, I noticed a shiny pebble on the sand.

It was a small, round pebble, about the size of a circle formed by the tips of your thumb and forefinger, and it glistened beautifully, wet from the water.

I picked up the pebble and showed it to my wife.

"Isn't it pretty?"

She half-heartedly agreed with me and then suddenly said, "I should give this to E as a gift."

My wife was planning to go to New Jersey today to meet some old friends, and she wanted to give this pebble to her friend E.

It seemed a bit strange to think of giving such a common pebble as a gift.

But my wife had received a text from that friend earlier this morning.

Only then did I realize that the pebble could indeed be a fitting gift, and I silently agreed with her.

My wife shared the text she received that morning:

"I leveled the lawn and made kimchi, and I feel a little more at ease now."

Even without further context, I could sense that her friend had recently been hit by some rough waves in life or in her relationships.

Could this pebble be a comforting gift, like the Buddha's serene smile during the *'Flower Sermon'?

Like a lotus that blooms beautifully in the mud, the pebble might be a symbolic gift for her friend who is enduring the wounds of life, which, in Buddhism, is often likened to a sea of suffering.

I wondered how long this pebble had been tossed and turned by the waves before it appeared, shining in front of me this morning.

As soon as my wife saw the pebble, she thought of E.

It was clear that the text message from her friend had been on her mind all morning, prompting her to want to gift the pebble to E.

The pebble wasn’t just lying on the beach; it was also shining in my wife’s heart.

It would be wonderful if my wife’s friend, E, could smile when receiving a pebble. Sometimes, it’s the simplest gestures that bring the most joy.

Today, the sea seemed to shine with a serene beauty unlike any other time.

 


*"The Smile of Flower Presentation" is an expression originating from a Buddhist parable and represents an important concept in Zen practice. This story is derived from an event where, during a sermon by Buddha, he silently held up a flower. While the disciples were puzzled, the disciple Mahākāśyapa understood the meaning and responded with a smile.

This event symbolizes the concept of 'teaching without words,' a truth that cannot be conveyed through language or writing, but is passed directly from mind to mind. "The Smile of Flower Presentation" represents such a moment of enlightenment and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deep insights or truths that emerge in silence or contemplation.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nd Teton에서 맞은 아침  (2) 2024.09.20
이제와 새삼 이 나이에 - 이거 쑥스럽구만  (6) 2024.08.31
아침 일기  (1) 2024.08.23
US OPEN  (0) 2024.08.22
초보 요리사  (3)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