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에서 생긴 일 - 눈 뜬 장님
8월이다.
아무래도 7.8월이 휴가철이다 보니
세탁소 손님들 중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떠난 관계로
파리가 날릴 정도는 아니어도
많이 한가하다.
몇 년 사이 한층 빠듯해진 세탁소 살림에
휴가철의 한가함은
곧 소득의 빠듯함으로 연결된다.
세탁소 안의 열기는
내 머릿속의 짜증스러운 열기와 함께
지구 온난화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낯익은 손님이 세탁소 안으로 들어온 것은
오후 세 시쯤이었다.
"앞이 보일까?" 하는 걱정이 될 정도로 짙은 렌즈의
안경을 쓴 채 조심스러운 걸음걸이로
세탁소 안으로 발을 디민 건
T 씨였다.
최근에 눈 수술을 받은 모양이었다.
그는 우리 세탁소가 문을 열 때부터 손님이었는데
멀리 이사를 간 후로
소식이 없다가
최근 2-3년 전부터 다시
집에서 멀다면 먼 거리의 우리 세탁소를 찾는
80이 다 돼 가는 홀아비다.
T 씨는 전형적인 홀아비다.
찌든 냄새가 그가 입었던 옷에서도 배어나는----
그러니 그의 체취가 묻어 있는
옷이 담긴 플라스틱 백을 여는 순간이
내게는 늘 유쾌하지 못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그런데 며칠 전에는
그가 들고 온 백을 여는 순간
하마터면 과묵한 내 입에서 비명이 터질 뻔했다.
세 벌의 옷에서
제일 먼저 내 눈에 들어온 것은
'Bed Bug'이라 부르는 빈대였는데
그것도 한 두 마리도 아닌 십여 마리가 꼬물대고 있었다.
나는 짜증부터 내었다.
(이럴 때 내 표정을 보고 싶다.)
T 씨에게 옷을 밖으로 가지고 나가
털어 오라고 했다.
미안하고 당황한 T 씨는
잘 보이지 않는 눈 때문에
엉금엉금 걸어서 밖으로 나가
내가 시키는 대로 옷을 털어 나에게 다시 들고 왔다.
물론 그의 옷에 있던 빈대가 다 털려진 것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나는 마치 숙제를 제대로 하지 않은
아이에게 벌을 주듯 그 일을 시킨 것이었다.
"좀 똑바로 보라고."
T 씨가 가게를 떠나고
나는 그의 옷들이 충분히 담기는 크기의
플라스틱 통 안에 넣고
물과 비누를 섞어서 옷들이 잠기게 했다.
그러면 그 옷에 있는 빈대는 전부 익사할 것이라는 계산에서였다.
다음 날 T 씨의 옷은
다시 잘 세탁을 해서
새로운 생명을 얻게 되었다.
T 씨의 옷들은 윤기가 날 정도로 말끔해졌는데
반대로 내 마음은 T 씨의 세탁 전 냄새나고 구겨진 옷처럼
께름칙했다..
내가 T 씨를 대한 태도가 마음에 걸린 것이다.
앞이 보이질 않아 걷기도 불편한 사람이
먼 길을 찾아왔는데
나는 그가 빈대라도 되는 것처럼
마구 대했다는 자책감이 나를 떠나지 않았다.
그가 경험했을 수치감과 모멸감은
내 진한 짜증에 묻혀 있었던 것이다.
그는 눈이 어두워 집 안에 빈대가 들끓는 걸 보지 못했을 것이다.
자기 살을 물어뜯는 빈대의 공격에
모기에 물린 것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나는 그의 외로움과 모멸감을 보지 못했다.
그의 부끄러움은 볼 생각도 하지 않았다.
주변의 빈대를 보지 못하는 육신의 눈과
이웃의 아픔과 부끄러움을 보지 못하는 마음의 눈.
그 두 눈의 시력이 좋지 않다면
어느 편이 더 불편할까?
T 씨는 눈을 뜨고도 빈대를 보지 못한다.
나는 눈을 뜨고도 이웃의 마음을 보지 못한다.
마음의 시력이 약하면
생활 가운데서 불편함을 깨달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웃의 마음을 다치게 하고
수치와 모멸감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눈을 뜨고도 마음을 보지 못하는
나야말로 눈 뜬 장님이 아닐까?
T 씨가 옷을 찾으러 오면
그의 손이라도 잡고
잘 보이지 않는 그의 눈에 대해서,
혼자 사는 외로움에 대해서,
물어보고
조용히 그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마음의 귀를 여는 연습이라도 해야겠다.
'나의 글(내 마음에 드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 바라기 (2013) (0) | 2018.08.28 |
---|---|
세탁소에서 생긴 일 - 시이불견 (視而不見) (0) | 2018.08.17 |
나의 음악 이야기 - Paganini의 Violin Concerto (0) | 2018.08.15 |
예순 즈음에 (2013) (0) | 2018.08.14 |
베이글(Bagel)과 비이글(Beagle) (2013) (0) | 201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