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글(내 마음에 드는)

예순 즈음에 (2013)

 

예순 즈음에(2013)

 

'뚝'하는 퉁명스런 소리와 함께

유효기간이 지난 내 운전 면허증에 구멍이 난 것은

새 면허증이 프린터에서 나오는 순간과 거의 일치했다.

차량국 직원은 옛 면허증을 펀처 밑에 놓았다가

새로운 면허증이 프린트 되어 나오는 순간,  단 일 초를 허비함 없이

아주 숙달된 솜씨로 구멍을 내었다.

결과적으로 일 초의 오차도 없이 면허증의 영속성을 획득한 것이었다.

지난 5년이라는 세월이 펀처로 뚫린 구멍을 통해서

한 순간에 다 새어나가고 말았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월, 혹은 시간의 흔적이

겨울날 빠진 앞니처럼 시리게 작은 구멍으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유효기간이 지난 면허증을

본인에게 새 면허증과 함께 돌려준다는 것이다.

 

누구나 새 것을 좋아하는 것이 인지상정이겠지만

이 번 만은 에외다.

그것도 옛 것이  훨씬 좋아서

아직도 새 면허증 뒤에 함께 가지고 다닌다.

이미 사라진 지난 5년 동안

참 젊고 준수한(?) 내가 운전을 하고 다녔다.

머리도 검고 얼굴엔 주름도 없는 잘 생긴 청년(?)이.

그런데 새로 발급 받은 면허증의 나는

머리 숱도 듬성듬성 속이 비치는 데다가

흰 머리가 검은 머리를 압도하고 있는 상태이다.

게다가 얼굴엔 주름도 잡혀 있다.

 

가슴 한 쪽이 아렸다.

매일 보는 얼굴인데 사진에 찍힌 내 모습은

영락 없는 노인이다.

지난 5년이라는 시간의 흔적이 고스란히 내 얼굴에 묻어 있었다.

결혼 전 아내의 친구 하나는

나를 보고 '목욕탕에서 갓 나온 남자' 같다고 했다는데

그 모습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어디 가서 낮술이라도 들이키고 싶었다.

 

다시 젊은 날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해 주는

그런 술이 있다면

마구 들이키고 싶었다.

 

옛 면허증과 새 면허증을 번갈아 보며

이런 헛된 망상에 빠져 있는데

지금까지는 면허증의 유효기간이 5년이던 것이

새 면허증은 4년인 것을 알게 되었다.

 

왜일까?

 

유효 기간 안에 죽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아니면 나이 들어가며 새 면허증을 받으며 느끼는

충격의 완화를 위햐여 차량국의 배려심 때문에?

 

어쨌거나 앞으로 4년,

이 면허증의 유효기간이 끝나고

새로운 면허증을 받을 때면

내 나이 예순 즈음이다.

아무래도 생일 전에 발급 받으니

딱 환갑은 아니고 예순 언저리에 가 있을 것이다.

환갑은 동양에서의 한 생이다.

하나의 생을 마감하는 마지막에

주름이며 흰 머리카락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4년 후 새로운 운전 면허증을 받을 즈음이면

내 육신은 지금보다 좀 더 쇠락해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새로운 면허증과 함께

나는 하늘이 주신 한 생을 마치고

또 하나의 아주 새로운 생을 살아갈 것이니,

몸은 비록 노쇠해질지언정

마음만은 한 살짜리 아기처럼

푸릇푸릇 아름다우리라는 다짐을

새로 받은 면허증을 바라보며

자못 비장하게 하고 또 하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