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축복
내가 뉴욕에 첫 발을 내디딘 1984년도의 3월은 봄이 오긴 커녕, 아예 겨울이 그 시간을 점령하고는 떠나지 않은 채 횡포를 부렸습니다.
혹심한 추위로 잔뜩 움추리고 눈이 무릎까지 쌓인 뉴욕의 3월 속으로 나는 한국으로부터 날아왔고,
그 속에서 민들레 씨와 같은 나의 이민 생활은 시작되었습니다. 날씨부터 나의 이민 생활의 전주곡을 연주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 당시 뉴욕의 한국 이민자들은 대부분이 야채 가게나 생선 가게, 혹은 세탁소와 잡화가게 같은 자영업을 하거나,
혹은 그런 업소의 종업원으로 고단하게 몸으로 때우며 삶을 꾸려나가고 있었습니다.
나 자신도 예외는 아니어서 뉴욕에 도착한 바로 다음 날부터 부르클린에 있는 야채가게로 출근을 하였습니다.
하루 열 두 시간 이상을 일터에서 보냈는데, 이런 일을 해 본 경험이 없는데다가 손으로 하는 일이
그제나 이제나 영 서툴기만 한 나를 바라보는 매니저의 눈길이 곱지 않았습니다.
고개를 설레설레 저으며 도저히 구제불능이라는 표정을 짓곤 했는데, 그 때마다 심한 모욕감과 아울러 부아가 치밀어 올랐습니다.
일은 일대로 그렇게 고될 수가 없었습니다.
나중에 생각해 보니 일이 서투르고 손에 익지 않아서 더 힘들었던 것 같았습니다.
야채와 과일을 다듬고 또 그 박스들이며 쓰레기들을 정리하다 보면 하루가 휘익하고 바람 스치듯 지나갔습니다.
손에 물이 마를 새가 없어서인지 손가락 마디가 갈라지고 피가 맺혔습니다.
밤이 되면 손을 오므릴 수도 펼 수도 없어서 더운 물에 어정쩡 한 채로 담궜다 잠이 들곤 했습니다.
그래도 몸이 고단한 건 견딜 수 있었는데, 문제는 매니저가 한 마디씩 툭툭 던질 때마다,
손 마디가 갈라져서 아픈 것보다 더 쓰라린 생채기가 마음 속에 그 숫자와 깊이를 더해 가는 것이었습니다.
미국에 이민 와서 나보다 여러 모로 부족한 사람 밑에서 일을 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자존심 강한 내게 견딜 수 없는 고통이었습니다.
한국에서 살았더라면 이런 사람과 만날 기회도 별로 없었을텐데,
미국에 이민 와서 생각하지도 못한 마음 고생을 하게 된 것 같아 이민을 가자고 한 아내가 원망스러웠고,
“미국에 가면 혹시 내가 하고 싶은 공부를 더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별 생각 없이 미국까지 따라온 내 자신이 한심하게 여겨졌습니다.
어느날인가 매니저가 “아니 이 따위로 일을 하고 어떻게 주급을 받어?” 라고 하는 말에
머릿 속에 수 백 개의 바늘이 감춰져 있다가 일제히 내 머리를 찔러대는 것 같은 고통이 밀려왔습니다.
미국에까지 와서 이런 수치와 모욕을 당하는 내 자신이 너무나 비참했습니다.
그 순간 마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 한 가닥 오기 같은 것이 스물거리며 또아리를 트는 것 같았습니다.
미국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언가 마음가짐부터 달라져야 하리라는 결심 같은 것도 그 때 한 것 같습니다.
그 날 저녁, 일이 끝난 후, 평소엔 다른 사람들에게 미루고 하지 않던 마지막 쓰레기 정리를 스스로 청했습니다.
난 그런 일을 할 사람이 닌 것처럼 뒷 짐만 지고 남에게 미루던 일이었습니다.
끝내는 쓰레기 통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썪은 과일과 야채에서 풍기는 고약한 냄새를 견디며 쓰레기를 발로 다졌습니다.
무슨 훈장이라도 되는듯이 내 마음 속에 간직하고 내 모습도 쓰레기와 함께 발로 밟았습니다.
군대에서는 유능한 초급 장교였고, 미국에 오기 전까지는 인기 있던 여고 교사였던 나를 쓰레기통 속에 버렸습니다.
처음에 마음 먹기가 힘들어서 그렇지 일단 쓰레기 통 안에 들어가니 그렇게 마음이 편하고 평화로울 수 없었습니다.
더 내려갈 수 없는 곳까지 낮게 내려간 곳, 바로 쓰레기 통 안에서 나는 그날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내가 가지고 있던 허영스런 자존심을 버리고 뉴욕의 야채가게 종웝원으로 다시 태어난던 그 순간,
매니저의 입가에 스치는 미소를 보았습니다.
그 후로 매니저는 성심껏 내게 일을 가르쳐 주었고,
나 자신도 능숙하고 유능한 ‘야돌이’가 되는 데는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 날의 기억은 허리 아픈 이민 생활을 하면서 지금까지도 씩씩하게 견딜 수 있는 힘을 줍니다.
눈 부신 여명을 맞기 위해서 밤의 어둠은 그만큼 더 깊어야 하는 것처럼---------
오늘도 3월의 꽃샘 바람이 불어옵니다.
집 건너 편의 숲 속의 빈 나뭇가지는 이 3월에 겨울보다도 더 처절하게 아파하며 울어대는 것 같습니다. 그
런데 이 꽃샘바람으로 해서 나뭇가지가 이리저리 세차게 흔들리고,
또 그런 까닭으로 땅 속으로부터 물과 양분이 나무의 구석구석까지 잘 전달되어서 나무가 풍요롭게 잘 자란다고 합니다.
머지 않아 저 야윈 나뭇가지엔 초록 잎들이 무성하게 자라 햇빛에 반짝반짝 윤이 나겠지요.
숲 속은 잎들로 빼곡하고 새들이 가지에 깃들 것입니다.
나무에게도 사람에게도
고통은 축복을 준비하는 서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