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글(내 마음에 드는)

봄에 쓰는 편지

봄에 쓰는 편지



영락 없이 봄이네요. 

날씨도 많이 따뜻해졌습니다 

날이 풀리면서  작은 꽃들이 눈을 비비며 조심스레   위로 기지개를 펴기 시작하네요.

저희  뜰에도  ‘snowdrop’이라는 꽃이  군데 나누어서 무리를 져서 피어있습니다 

 속에서 핀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네요.

2주전 내렸던 폭설 위로 고개를 내밀더니 이젠 제법 소담스레 피어있습니다 

짙은 초록  사이로 하얀 꽃잎이 종처럼 달려 있고  하얀  잎엔 초록 색의 하트 무늬가 있는 꽃입니다.

아내가 가르쳐 주어서 일부러 땅에 배를 깔고 엎드려서  꽃들과 눈을 맞추었습니다.

청초하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꽃입니다.   신기하더군요. 

 겨울   속에 죽은 듯이 숨어 있다가 하얀 미소로

 봄에 다시 우리 곁에 찾아온  꽃들이 대견하고 고마웠습니다.

초록색의 하트 모양으로 미소를 건네는  꽃들을 바라보며

살아있는 ,

그리고 살아서 또새로운 봄을 맞는 일이

이리도 반갑고 물이 나게 고마운 일인지  새삼스레 느껴지더군요.

 

사실 지난 겨울 너무 추웠습니다.

바깥 날씨  아니라 그보다  꽁꽁 얼어붙은 경제 상황이

마치도 밤이  개월씩 지속된다는 북유럽 어느 나라에 사는 듯이

음산하고 우울한 느낌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여기 저기서 삶을 지탱하기가 힘들어서 자살을  사람들의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뉴욕 지역에서도  명의 한인이 자살로 삶을 마감했다는 소식도 우릴 우울하게 만들었습니다 

겨울의 추위가 아무리 매워도 봄이 되면 날이 풀리고

꽃들이  다투어 피어나게 됨을

자연은 우리에게 이런 꽃들의 미소를 통해 넌지시 알려주고 있습니다.

 

 

동화작가인 이현주 목사님의 수상집 지금도 쓸쓸하냐  중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선생님, 오늘 종일토록  쓸쓸했습니다." 

"알고 있다. 축하한다.""축하한다고요? 무엇을 말입니까?

" "네가 하루종일 쓸쓸했다는 사실을.  쓸쓸함도 너에게  손님이다. 지극 정성으로 대접하여라. 

 "어떻게 하는 것이 쓸쓸함을 대접하는 겁니까?"

 "쓸쓸한 만큼 쓸쓸하되, 그것을 떨쳐버리거나 움켜잡으려고 하지 말아라.  너에게 온 손님이니 때가 되면 떠날 것이다."


그렇죠, 슬픔, 두려움, 공포,나고통 같은 것도

우리에게 겨울이 찾아 오듯

그렇게 손님처럼 우릴 찾아왔다가

때가 되면  우리 곁을 떠나는 손님 같은 것으로 생각하며 견디면 좋겠어요.

그러다 보면 새로운 희망과 기쁨이  

 새로운 손님이 되어 봄꽃처럼 환한 미소로  우릴 찾아오겠지요.

마치  속에서 얼굴을 내밀며 배시시 환한 미소를 보내던 snowdrop처럼 말입니다.

 

오늘은 따사로운 봄바람이 뺨에 와 닿습니다.

불란서 시인 폴 발레리의 시  중에

'바람이 분다, 살아봐야겠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오늘은 제 맘대로 한 글자를 더 보탭니다.

'봄바람이 분다, 살아봐야겠다' 라고------- 

 

봄은 그것을 느끼고 발견한 사람에게만 찾아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