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의 이방인 (L'Etranger)
뉴욕에서 시카고까지의 거리는 800마일 가량 된다.
킬로미터로 환산하면 1,200 킬로 미터가 좀 넘는 거리다.
쉬지 않고 운전을 해도
열 세 시간은 족히 걸리는 거리를
마다하지 달려 간 것은
오로지 66 번 도로의 시발지가 시카고에 있다는 사실 하나 때문이었다.
시카고는 10 여 년 전에 두 번 다녀온 적이 있다.
시카고 지역의 ME 주말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2 박 3 일 일정으로 두 번을 다녀 왔는데
공항에서 호텔까지,
프로그램이 끝난 뒤
다시 호텔에서 공항으로 차를 타고 이동을 했으니
제대로 시카고 땅을 밟아 본 것은
이 번 여행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시카고에 대해 10 여 년 전에 받았던 인상은
춥고 바람이 거센 곳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전 언젠가 화재 때문에 도시가 불 탄 뒤,
새로운 건물이 들어설 때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참여해서 도시를 재건축한 까닭으로
건물의 모습이 특이하다는 점도
시카고에 대한
내 인상의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마피아의 전설적인 인물 알 카포네도
뉴욕의 부르클린에서 출생해서
시카고에서 활동을 시작했다는 정도가
내가 시카고에 대해 알고 있는 상식의 전부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미국에 살면서도
미국에 대해서 도무지 아는 게 없다는 것,
그런 무지함에도 불구하고
이 미국 땅에서
세 끼 꼬박 챙겨 먹으면서 미국 시민으로서
당당하게 살아가고 있음이
신기할 따름이다.
오후 2 시 쯤 시카고 시내에 들어섰는데
도로에는 차가 넘실대며
설설 기어다니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시카고 마라톤 대회가 열리고 있었던 것이다.
마침 우리가 시카고에 들른 날이 일요일이어서
오후 4 신가의 미사에 가기 위해 시카고의 주교좌 성당으로 향했다.
미사 시간까지 한 시간 정도 여유가 있었기에
66 번 도로의 시작 표지판이 있는 곳을 찾아 보기로 했다.
가는 길은 마라톤 대회의 여파로
차도는 차도대로
인도는 인도대로
차와 사람들로 붐벼서 느릿느릿 물처럼 흘러다니는 것 같았다.
우리의 목적지가 있는 곳으로 추정되는 곳을 지났으나
66 번 도로의 시작점을 찾을 수가 없었다.
두어 바퀴 돌고 미사 시간 때문에 일단 철수를 했다.
미사를 마치고
66 번 도로의 시발점을 향해 다시 길을 떠났다.
길은 전보다 조금 한산해졌다.
느릿느릿 움직이는 차보다는
사람의 걸을걸이가 더 빠를 것 같아서
아내가 목표 지점 두 어 블락 전에 내려
걸으며 찾아보기로 했다.
시카고 뮤지엄을 길 건너에 두고
반 블락 쯤 되는 곳에
그 표지판이 있었는데
아내가 그 아래서 기다리고 있었다.
찬찬히 걸으면서 찾아야지
뒤에서 빵빵거리며 길을 재촉하는 차들이
연신 파도처럼 밀려오는 차도에서 차를 타고
그 표지판을 찾는 것은 애초에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살아가는 일도 그런 것 같다.
더 크고 귀중한 보석을 찾으러 과속을 하다 보면
내 발 밑에 무수히 깔려 있는 보석을
다 놓치고 마는 것은 아닐런지.
표지판은 어느 프렌차이즈 음식점 앞에 있었는데
(음식점 이름을 외우려고 몇 번 중얼거렸음에도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무도 신경 써서 보는 것 같지 않았다.
찾으려고 애를 쓸 때는 몰랐는데
찾고 나니
허무한 느낌이 들었다.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는 데다가
초라하기까지 하니 말이다.
뜬금 없이 까뮈의 '이방인'이 떠 올랐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뫼르소라는 주인공이
사람을 죽이고 재판을 받으며
'왜 사람을 죽였느냐?'는 질문에 '햇빛이 눈 부셔서'라는 대답을 한다.
물론 뫼르소가 사람을 죽인 이유는
뫼르소 자신을 포함해서 아무도 모른다.
햇빛이 눈이 부셔서도 아니다.
그저 사람을 죽인 것이다.
이것이 흔히 실존주의에서 말 하는 부조리다.
왜 굳이 66 번 도로가 시작하는 곳까지
그리 힘들게 찾아 갔느냐고 물으면
나는 뭐라고 대답할까?
햇빛이 눈 부셔서?
아니면 바람이 많이 불어서?
딱히 대답할 말을 찾지 못 하고
그 자리를 떠나야 했다.
시카고 시내를 벗어나는데
멀리 해가 진 하늘이 보라색으로 물들어 있었다.
그 보라색을 배경으로 가로등 불빛이
비처럼 쏟아져 내리고 있었다.
굳이 그 먼 시카고까지 간 것은
오로지 가로등 불빛 때문인 것 같이
예쁜 불빛이 쏟아져 내리고 있었다.
이방인에게 내리는 축복같은 불빛이----
http://blog.daum.net/hakseonkim1561/1891
시카고 교구 주교좌 성당
'Holy Name Cathedral'
Bumper to Bumper
운전하면서 옆 차의 유리창을 찍을 정도로
차가 많았던 시카고 거리
Historic Route 66
Begin
알아 보기도, 찾기도 쉽지 않다.
Holy Name 주교좌 성당
람보기니가 두 대씩이나
우리 차 앞에 출현!
아내가 사진을 찍으니 길 가던 사람들도 덩달아 사진 찍기 바쁘다.
람보기니 주인은
아주 여유있게 천천히 간다.
사람들 앞에서 마치 뻐기는 것 같았다.
마라톤 경기를 마친 사람들
거리엔 여러 종류의 악기를 연주하는
거리의 악사들도 제법 눈에 띄었다.
이 건물이 시카고 뮤지엄.
66 번 도로의 표지판은 이 곳 근처에 있다.
송신탑이 있는 건물이
모르긴 몰라도 미국에서 제일 높다는
Sears 백화점 건물로 추정된다.(아닐 수도 있음)
'여행 이야기 > 미 대륙횡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g Meadows (0) | 2018.03.21 |
---|---|
Arizona의 Seligman에서 만난 독일 사람들 (0) | 2018.02.16 |
미시간 호수 - 가장 따뜻한 색, 불루 (0) | 2018.01.25 |
옥수수 밭으로 둘러 싸인 시골에서 옥수수처럼 웃다 (0) | 2018.01.24 |
66번 도로의 출발점을 찾아서 (0) | 2018.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