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http://blog.daum.net/hakseonkim1561/1297


나는 가끔 후회한다
그때 그 일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그때 그 사람이
그때 그 물건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더 열심히 파고들고
더 열심히 말을 걸고
더 열심히 귀 기울이고
더 열심히 사랑할 걸...

반벙어리처럼
귀머거리처럼
보내지는 않았는가
우두커니처럼...

더 열심히 그 순간을
사랑할 것을...
모든 순간이 다아
꽃봉오리인 것을
내 열심에 따라 피어날
꽃봉오리인 것을!

--- 정현종(시인)의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올 것이 오고 말았다.

아니, 오지 말아야 할 것이 오고야 말았다.

 

지난 토요일 아내가 엽서 한 장을 내게 내밀었다.

순간 내 얼굴이 붉어졌다.

아내에게 내 마음을 들킨 것 같아

내 마음이 발갛게 달아올랐다.

 

그 엽서는 내가 한국에 갔을 때

남쪽 바다 끝,

통영의 중앙 우체국에서 부친 것이었다.

 

처음 계획은 아주 순수하고 낭만적인 의도로 시작되었다.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하였으므로 진정 행복하였네라

 

이렇게 끝나는 유치환 시인을 흉내 내어

아내에게 절절한 사랑의 마음을 적어 보내려는 것이 나의 의도였다.

 

청마는 이 곳에서 연인 이영도 시인에게

연서를 써서 부쳤다는 이야기는 이미 너무 유명해져서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먼 타지에서

나만의 특별한 고백을 아내에게 하고 싶었던 것이었다.

 

창구의 여직원에게 조심스럽게 물었다.'

 

"혹시 엽서가 있나요?"

 

나를 흘긋 다시 한번 보더니

직원은 설합을 한 두 개 뒤지더니 엽서를 꺼내 내게 건네주었다.

그 표정엔 호기심이 묻어 있었다.

 

가격이 200원이었던가, 300원이었던가----

기억이 확실하지가 않지만 

너무 터무니없이 싼 가격이어서 놀랐다.

25센트도 채 되지 않는 가격에 적지 않게 실망이 되었다.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인지

직원도 엽서를 둔 위치를 기억해 내는데 잠시 시간이 걸린 것 같았다.

 

"이 엽서가 미국까지도 가나요?"

 

창구 직원은 잠시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그곳에서 일하면서 이런 질문은 처음 받는 것임이 틀림이 없었다.

그 여직원은 선임인 듯 한 다른 직원에게 물어보더니

 

"네 간답니다." 

라고 제법 자긍심 그득 담긴 어조로 

반신반의하고 있던  내게 답을 돌려주었다.

 

그런데 그 싼 엽서 값이 문제였다.

경험 많은 선임 직원의 유권해석에 의심이 가기 시작했다.

 

-설마, 이게 미국까지 갈까?-

 

내 마음의 추는 이미 의심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그럴 리가 없다고 마음의 결정을 내리고 나니

아내에게 아주 특별한 사랑의 고백을 엽서에 실어

미국으로 보내려던 마음은 봄 눈 녹듯 스르르 사라지고,

'어디 정말 가는지 두고 보자'는 마음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랑의 마음보다는 판단하는 마음,

테스트하려는 마음으로 대충 엽서 한 두 줄을 메꾸고 멈추었다.

어차피 아내의 손에 닿지 않을 걸 

뭐 그리 마음을 모아 빈칸을 메꿀 필요가 있을 것인가.

 

그런데 오지 말았어야 할,

와서는 안 될 엽서가 내가 한국을 떠나고

두 주가 지나서  

내 의심을 비웃기라도 하는 것처럼

떡하니 아내 손에 쥐어진 것이다.

 

200원인가 300원짜리 엽서는

태평양을 건너서 3 주일쯤 걸리는 고단한 여정 끝에

우리 집에 도착했다.



25 쎈트 엽서 한 장의 무게 보다도 가벼운

내 마음, 내 사랑, 내 정성.

 

살아오면서

마음을 다 하지 못하고

정성을 다 하지 못하고

사랑을 다 하지 못한 것이 어디 이 번뿐이랴.

 

내 생각과 내 판단이 옳다고 믿으며

순간을 사랑하지 못하고

피워내지 못한 삶의 꽃 봉오리는 또 얼마나 될 것인지.

 

창구 직원의 말을 그대로 믿었어야 했다.

300원짜리 우편엽서의 가치를 인정했어야 했다.

 

누가 알겠는가

이제부터라도

참회하고 순간을 소중히 여기며 살면

언제고 그 엽서 한 장이

백만 송이 흰 장미 꽃봉오리가 되어 향기를 풍길는지.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의 첫 날  (0) 2016.03.21
시그널  (0) 2016.03.16
Valentine's Day엔 파인 애플을----  (0) 2016.02.15
먹방- 통영의 울산 다찌  (0) 2016.02.09
친구여 우리 모두는 연리근입니다  (0)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