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이 자기 머리 못 깎는다지만------
'스님은 자기 머리 못 깎는다.'
나도 내 머리 못 깎는다.
그러므로 나도 스님이다?
내가 스스로 내 머리를 못 깎기에
전속 이발사를 두었다.
다름 아닌 우리 마님이시다.
미국 와서 처음엔 차도 없는 데다가
이발소가 어디 있는지 조차 모를 정도로 바쁘게 살았다.
그러므로 손재주 많은 아내에게 이발을 부탁했고
아내는 자연스레 내 전속 이발사가 된 것이다.
내 년이면 이민 온 지 30년이니
거의 30년 동안 줄기차게 내 머리를 깎았다.
보드라운 아내의 손에 내 머리를 맡기면
그렇게 행복할 수 가 없는데
거기엔 무슨 마법 같은 것이 있는지
중독성도 있는 것 같다.
단지 아내에게 머리를 깎이기 시작한 때부터
구약 성경의 '삼손과 데릴라'이야기에서 처럼
아내에게 영 맥을 못 추게 되었다.
내 머리에도 무슨 힘의 비밀이라는 것이 있어서
머리를 깎이면서부터는
아내는 이발사가 아니라
마님으로 군림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내 주변머리(귀 주변)가 없어서
아무 이발사에게나 머리를 맡겼다간
쥐에게 물어 뜯긴 것처럼 아주 흉칙한 모습이 되기 십상이어서
내 외모 관리 상 어쩔 수 없이
내 머리의 비밀(?)을 아는 마님께
오늘도 머리를 통째로 맡길 수 밖에
다른 도리가 없는 것이다.
이런 악순환으로 해서
나는 마님 앞에만 서면
자꾸 작아지는 존재가 되고 만 것이다.
오늘도 마님께 머리를 맡겼는데
처음에 깎고 나서 마음에 안 드는지
두 차례나 머리를 더 깎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것이다.
10분 단위로
샤워도 두 번이나 해야 했다.
게으른 탓에 두어 달에 한 번씩 깎는 머리를
하루에 세 번이나 깎은 것이다.
아니 깎인 것이다.
아내는 큰 아들 머리 깎은 것을
침이 마르게 창찬을 하더니
작정을 하고 거사(?)를 시작했다.
옆머리를 치켜 깎기 시작했다.
긴 머리에 감춰졌던 머릿속 치부가 보였다.
옆머리를 짧게 치고
앞머리도 짧게 깎은 후
흰 이마가 드러나자
아내는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우리 남편 이마가 훤한 게
인물 살아났다'고 환희에 찬 목소리로
외치는 것이 아닌가.
내가 보기엔 털 뜯긴 닭같은데------
그래도 '꼬끼오' 소리 한 번 못 냈다.
내가 내 머리 못 깎는 약점이라면 약점을
아내가 대신 해주는데
고마움을 표현하지는 못할 망정
누구 안전에서 불평을 하랴?
아내는 아들이 쓰는 뭐라든가
무스(?)라는 걸 머리에 바르더니
이리 저리 머리를 세우고
요리조리 움직이며
죽이거니 살리거니 모양을 내더니
드디어 거사(?)를 완성했다.
내 머리 하나도 내 마음대로 못하는
내 팔자.
스님이 자기 머리는 못 깎아도
시진사가
자기 모습은 찍을 수 있음은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아내에 대항해서
'꼬끼오' 소리는 못 내고
거울의 힘을 빌어 기념 삼아
나도 내 모습을 한 장 찎었다.
머리 깎는 데에는
전혀 주체적이지 못하지만
내 모습을
내가 주체적으로 찍을 수 있음에
감사하며
나도 살아 있는 존재임을
간접적으로나마 아내에게
스스로 찍은 내 사진으로
소리 없이 외치고 있는 것이다.
쥐가 뜯어먹은듯한 내 머리는
머지 않아 자라서 치부를 덮을 것이고
또 머리를 깎아야 할 때가 올 것이다.
나의 머리카락은
다시 아내의 부드러운 손길을 갈망할 것이고
그 때를 위해서
나는 오늘도 마님의 순한 양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나저나
머리 깎은 내 모습 어때요?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antz로 받은 음악 선물 - Paganini Violin Concerto (0) | 2013.08.08 |
---|---|
나비, 그대가 부처로소이다 (0) | 2013.07.24 |
저물녘에 더 아름다운 사람 (0) | 2013.07.17 |
더위를 견디는 법 1 (0) | 2013.07.17 |
별이 열리는 나무 - Father's Day에 (0) | 201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