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어제 헌혈을 했다.
내가 다니는 성당의 체육관에서 헌혈을 했다.
2년 만의 일이다.
작년 이 맘 때도 헌혈을 하려 했지만
적격 여부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그 해 2 월에 다녀온 탄자니아 여행이 문제가 되었다.
말라리아 같은 풍토병에 걸렸을지 모른다는 가능성이 문제였다.
미국에 입국하고 석 달이 지나야 비로소 헌혈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간호사의 설명이었다.
아프리카 여행에서 돌아온 지 석 달에서 며칠 모자라서 결국 작년에는 헌혈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석 달이 지난 훨씬 뒤에도 아무런 전염병의 증세가 내 몸에 나타나지는 않았다.
헌혈 자격이 복원된 이후에 몇 차례 헌혈을 하려고 했으나
헌혈하는 장소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다는 비겁한 핑계로 미루고 미루다
드디어 어제 헌혈을 한 것이다.
나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나 인류애가 많은 사람이 아니다.
오히려 보통 사람들보다도 사람들과 사회에 대한 배려의 마음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헌혈을 하는 것은
이웃에 대한 내 결핍된 사랑을 조금이나마 보충하기 이해서이다.
내 몸의 피는 아무런 대가를 치르지 않고 신으로부터 거저 받은 선물이 아닌가.
목숨을 온전히 내어 놓는 일도 아니고
내 피의 일부를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는 그 간단한 일을 마다할 까닭은 없다는 것이
헌혈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헌혈한 피는 다시 생겨나고 영원히 없어지는 것도 아니니
별로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 없는 나에게 헌혈은 제법 튼실한 자위의 수단이 된다.
아내의 경우 태생이 저혈압인 데다 철분까지 부족하니
언감생심 헌혈은 할 수가 없다.
헌혈은 건강하고 건강한 피를 가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다.
헌혈을 하기 전에 혈압을 재고 여러 가지 검사와 인터뷰를 했던 간호사에게 물어보았다.
"내 혈압 수치를 좀 알려주세요."
"120/80입니다."
내 나이 또래에서 이런 혈압을 가진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헌혈을 했다는 뿌듯함과 동시에
내가 참 건강하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왔다.
기회가 될 때 이런 뿌듯함과 자부심을 향유하기 위해서라도
열심히 운동하고 건강한 음식을 먹어야겠다는 마음도 다졌다.
유치환 시인의 시 중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랑하는 것은 사랑받는 것보다 행복하다."
나는 그 구절을 이렇게 바꾸어 본다.
"헌혈하는 것은 수혈하는 것보다 행복하다."
Blood Donation
Yesterday, I donated blood.
I did it at the gym of the church I go to.
It was my first time in two years.
I tried to donate around this time last year,
but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my trip to Tanzania in February became an issue.
They were worried I might have caught a disease like malaria.
The nurse explained that I had to wait three months after returning to the U.S.
Since it had only been a little less than three months, I couldn’t donate then.
But even long after those three months passed, I showed no signs of any illness.
After I was eligible to donate again,
I planned to do it several times,
but I kept putting it off because the donation centers were too far away—an excuse, really.
Finally, I donated blood yesterday.
I’m not someone with a lot of love for others or deep care for humanity.
In fact, I think I care less about people and society than most.
But I donate blood
to make up, even a little, for that lack of love.
The blood in my body is a free gift from God.
It’s not like I’m giving up my whole life.
Just sharing a little of my blood with someone who needs it is simple.
That’s how I think about blood donation.
The blood will come back, and it doesn’t disappear forever.
So for someone like me, who doesn’t do much for society,
donating blood feels like a meaningful way to do something good.
My wife has low blood pressure and lacks iron,
so blood donation is not an option for her.
Only healthy people with healthy blood can donate.
Before donating, the nurse took my blood pressure and asked me some questions.
I asked her,
“What’s my blood pressure reading?”
She said,
“120 over 80.”
Not many people my age have such good numbers.
I came home feeling proud that I had donated,
and also proud to be in good health.
Now, I want to keep exercising and eating healthy food
so I can enjoy this feeling of pride again in the future.
There is a line in a poem by Korean poet Yu Chi-hwan:
“To love is happier than to be loved.”
I would change it a bit:
“To donate blood is happier than to receive it.”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urt – Can I Be Just an Empty Boat? (At the Soccer Field)" (1) | 2025.05.08 |
---|---|
My Music Story – The Spring of 1980, Returned (2013) (3) | 2025.05.07 |
무소유, 혹은 미니멀 라이프? (4) | 2025.05.05 |
폭삭 속았수다!!!-봄마중 (4) | 2025.05.05 |
여백의 시간 (7)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