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 준오 이 하나, 할아버지 턱걸이 하나
매주 수요일은 손자 준오가 우리 집에 오는 날이다.
그래서 수요일은 아침부터 설레는 마음으로 시작을 한다.
내 인생의 책이라고도 할 수 있는 '어린 왕자'에 이런 구절이 있다.
“너는 매일 같은 시간에 오는 게 좋아.
예를 들어 네가 오후 네 시에 온다면, 나는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 거야.
시간이 갈수록 나는 점점 더 행복해지겠지.
네 시가 되면 나는 안절부절 못할 거야.
그래서 행복이 얼마나 값진 것인지 알게 되는 거지.”
오늘 아침도 여느 때와 같이
여우가 어린 왕자를 기다리는 마음으로 하루를 맞았다.
아들은 손자 준오와 우리와의 관계를 위해
수요일마다 우리 집으로 출근을 해서 일을 한다
아들이 우리 콘도의 라운지에서 일을 하는 동안
손자 준오는 우리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
준오와 함께 하는 꿀같이 달달한 시간의 황홀함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을는지.
준오는 천성이 명랑하고 방글방글 잘 웃어서
같이 있기만 해도 내 의지와 상관없이
입을 헤벌어지게 만든다.
그런데 오늘 아침은 여느 때와 준오의 상태가 달랐다.
잘 웃지도 않고 같이 놀아주는데도 힘이 들었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다른 때와 달리 준오는 무척 침을 많이 흘렸다.
나중에 아들에게 "새로운 이가 나는 것 같다"라는 설명을 들었다.
"아, 그렇구나."
새로운 이가 나올 때의 그 가렵고도 아픈 느낌 때문에 준오의 심기가 그리 불편한 것이었다.
한 달 전에 준오는 위아래로 각가 앞니 두 개가 나 있었다.
나는 준오의 이를 보며 이런 결심을 했다.
준기 이가 나는 숫자만큼 턱걸이 숫자를 늘려가기로
나름대로 발칙한(?) 마음을 먹었다.
그러나 한 달 동안 감기로 고생을 하면서 그 결심의 농도는 확연히 묽어졌다.
지난주에 gym에 가서 시험 삼아 턱걸이를 해 보았는데
겨우 두 번 하고 반 정도 할 수 있었다.
준오의 현재 이의 개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였다.
별로 노력하지 않으면서 턱걸이를 할 수 있는 능력의 향상을 기대하 수는 없을 것이다.
새로운 이가 나느라 준오도 저리 고통을 받는데
턱걸이 개수를 늘리기 위해 나는 얼마만큼이나 아픔을 견디었을까.
성장에는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새로운 이가 나기 위해서, 키가 크기 위해서
성장통은 필수적이다.
나도 고통스럽지만 다시 힘을 낼 것이다.
손자와 함께 이 할아버지도 함께 성장하고 싶은 것이다.
One Tooth for Juno, One Pull-Up for Grandpa
Every Wednesday is Juno Day.
That's the day our little grandson Juno comes to visit us.
So, Wednesdays always begin with a flutter of joyful anticipation.
There’s a line from The Little Prince, the book I hold dearest in life:
“It’s better if you come at the same hour every day.
If you come, say, at four in the afternoon, I’ll begin to be happy by three.
The closer it gets to four, the happier I’ll feel.
By four o’clock, I’ll be all excited and anxious.
That’s how precious anticipation becomes.”
This morning, like every Wednesday,
I welcomed the day with the heart of the fox waiting for the Little Prince.
Our son, thinking of the bond between us and his child,
decided to work from our place every Wednesday.
While he sets up at the condo lounge to work,
we get to savor every golden moment with our darling Juno.
How could I ever explain the bliss of spending time with Juno—
sweet as honey and utterly enchanting—in any logical way?
Juno is naturally cheerful, always smiling that bright, sparkly smile.
Just being near him makes me grin from ear to ear, no matter what mood I’m in.
But this morning, Juno seemed different.
He didn’t laugh as much and wasn’t as playful as usual.
Then I noticed something—he was drooling much more than usual.
Later, our son told me, “I think he’s getting a new tooth.”
“Oh, that makes sense,” I said.
That itchy, sore feeling of a new tooth pushing through—
of course that would put him in a bit of a mood.
Just a month ago, Juno had two tiny front teeth—top and bottom.
And as I admired those adorable teeth,
I made a little promise to myself:
For every new tooth Juno grows, I’ll add one more pull-up to my count.
It was a cheeky (and slightly ambitious) resolution.
But after catching a cold and feeling unwell for a while,
my resolve had thinned out considerably.
Last week at the gym, I tried to test myself.
I barely managed two and a half pull-ups.
Not even enough to match Juno’s current number of teeth!
I can’t expect to get stronger without effort.
Juno suffers through the pain of teething—
what right do I have to avoid the aches of my own growth?
Growth always comes with pain.
To grow teeth, to grow taller—
growing pains are part of the journey.
I may be sore, but I’ll push through.
Because this Grandpa wants to grow too—right alongside his grandson.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삭 속았수다!!!-봄마중 (4) | 2025.05.05 |
---|---|
여백의 시간 (7) | 2025.05.04 |
맨해튼 나들이 (3) | 2025.04.25 |
시선 (3) | 2025.04.20 |
아침산책 - 구름 한 점 없는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