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마시멜로 이야기, 그리고 꽁치 통조림(2016. 12.30)

마시멜로 이야기, 그리고 꽁치 통조림(2016. 12.30)

 
나의 글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앞서 마시멜로우 이야기를 잠시 인용하기로 한다.
1960~70년대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월터 미셸이 실시한 유명한 실험에서, 취학 전 어린이들은 작은 책상 하나만 덩그러니 놓여 있는 방 안에 초대되었다. 책상 위에 있는 것은 마시멜로 두 개와 종(bell) 하나.
연구자는 어린이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난 바빠서 잠깐 나가봐야겠어. 나중에 내가 돌아왔을 때 마시멜로 두 개를 다 줄 테니 기다려. 혹시 그 전에 마시멜로가 먹고 싶으면 종을 울리고 하나만 먹으렴. 하지만 하나를 먹으면 그걸로 끝이야. 두 개를 다 먹으려면 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해.” 연구자는 이 말을 남기고 방 밖으로 나갔다. 방문은 굳게 닫혔고, 어린이들은 금단의 마시멜로와 함께 방 안에 남겨졌다.
어떤 어린이들은 불과 1분 만에 종을 울리고 마시멜로 하나를 먹어치웠고, 어떤 어린이들은 유혹을 이겨내기 위해, 눈을 가리고 노래를 부르고 책상을 걷어차면서 딴청을 부렸다. 꾀가 많은 어린이는 어찌어찌 해서 낮잠을 잤다. 결국 1/3의 어린이들은 참지 못하고 마시멜로를 먹고, 나머지 2/3는 끝까지 참았다.
그런데 이 실험을 유명하게 만든 것은 바로 다음과 같은 부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후 실시된 2차 연구에서, 유혹을 이겨낸 어린이는 유혹을 이겨내지 못한 어린이들보다 몸매가 날씬하고 사회 적응을 잘하게 됐을 뿐 아니라, SAT에서 210점이나 더 많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한 순간의 유혹을 참은 아이들이
시간이 지나고 나니 몸매도 날씬해졌고
사회적으로도 성공을 했다는 이야기다.
기다림의 미학,
삶에서의 숙성과 발효의 아름다움을 품고 있는 실험이고
교훈이 담겨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홀아비 생활이 일주일이 다 되어간다.
아내는 크리스 마스 새벽에
친정 부모님이 계신 아리조나로 떠났고
방학과 휴가를 맞아 집에 와 있던
두 아들도 목요일에 아리조나로 날아갔다.
'Home Alone'
한 두 차례 있는 일도 아니고
이젠 혼자 있는 것도 제법 이력이 나서
독신생활에 제법 틀이 잡혀간다.
그런데 이 나이 되니
독신 생활이 홀가분함이라는 잇점이 있음에도
먹는 일을 해결해야 하는 것 때문에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언제부터인지 아내는 집을 떠나면서
곰국 끓이는 일을 멈추었다.
이제 날 다 키웠다고 생각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기도 힘에 부쳐서 그러는지 모르겠다.
이도 저도 아니면 나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어
만약의 사태(?)에 적응하도록 나를 훈련시키려는
눈물 겨운 의도가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어제 저녁식사는 꽁치 통조림을 이용한
꽁치 조림을 해서 한 끼를 행복하게 때웠다.
미리 아리조나의 아내에게 부탁해서
얻은 레시피릉 거의 그대로 따라서 했다.
나는 웬만해서는 생선이나 게 같은 걸 먹지 않는다.
뼈를 발려 먹는 것이 귀찮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조림 안의 생선은 뼈가 흐물흐물하니
그냥 씹어먹을 수 있어서 꽁치 통조림은
내가 좋아하는 것 중 하나이다.
그러나 문제는 조림을 하려면
이것저것 양념을 하고 졸여야 하는 일이 너무 귀찮은 것이다.
그래도 마시멜로우 이야기에서처럼
기다리는 미학을 통해서 미각의 환희를 느끼기 위해
나는 배고픔을 참고 시간을 조리기 시작했다.
먼저 양파를 썰어서 뚝배기 바닥에 깔고
그 위에 통조림 깡통을 뜯어 꽁치를 쏟았다.
그런데 양념 간장이 문제였다.
만들기가 귀찮아지기 시작한 것이다.
잠시 머리를 굴렸다.
머리는 생각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니 말이다.
냉장고 안에 깻잎을 간장에 졸여 놓은 것이 있음을 기억해냈다.
바로 그 간장을 덜어내 투가리에 투하했다.
고춧가루와 마늘 갈은 것도 함께 넣었다.
약한 불에 15 분을 졸였다.
15분의 시간이 마술을 부렸다.
시간이 이뤄낸 기적.
내가 만들어 놓고 내가 기막힌 맛,
그 기적에 푹 빠졌다.

 

허기를 15 분을 참고 만들어낸 꽁치 조림의 결과는

밥을 두 그릇이나 해 치우게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마시멜로우 이야기에서는
참고 기다림으로 해서 몸매가 날씬해지고
사회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고 하지만
내 꽁치 조림 이야기 이야기는 다른 결론이 날 것 같다.
너무 맛 있는 꽁치 조림 때문에
밥을 두 그릇이나 먹었으니
비만 걱정을 해야 할 것 같다.
마시멜로우를 기다렸다 먹으니
날씬한 몸매를 갖게 되었다고?
개뿔!
오늘부터는 무소의 뿔처럼
내 식대로 간다.
 

The Marshmallow Story and Canned Mackerel
(December 30, 2016)

 

Before diving into my main narrative, let me briefly cite the story of the marshmallow experiment.

In the 1960s and 70s, Walter Mischel, a psychologist at Stanford University, conducted a now-famous study. Preschool children were invited into a room containing nothing but a small table. On the table were two marshmallows and a bell.

The researcher explained to the children, “I need to step out for a bit. If you wait until I return, you can have both marshmallows. But if you can't wait and want to eat one now, just ring the bell and eat one marshmallow. That will be it, though—you won’t get the second one.” With those instructions, the researcher left the room, shutting the door firmly behind them. The children were left alone with the forbidden marshmallows.

Some children rang the bell within just a minute and ate one marshmallow. Others tried to resist temptation, covering their eyes, singing songs, or kicking the table to distract themselves. The clever ones even managed to fall asleep. Ultimately, about one-third of the children couldn’t resist and ate the marshmallow, while the remaining two-thirds held out until the researcher returned.

What made this experiment famous was the follow-up study conducted a decade later. The children who resisted temptation were found to be slimmer, better socially adjusted, and scored an average of 210 points higher on the SAT compared to those who gave in.

In essence, the children who resisted the temptation of the marshmallow not only developed slimmer physiques but also achieved greater social success over time.

This experiment encapsulates the “art of waiting,” celebrating the beauty of patience, maturation, and fermentation in life. It’s a story imbued with a meaningful lesson.


It has been almost a week since I started living as a widower. My wife left for Arizona early Christmas morning to visit her parents, and our two sons, who had been home for the holidays, flew to Arizona on Thursday.

"Home Alone."

This isn’t the first or second time I’ve been left alone, and by now, I’ve become quite accustomed to living solo. I’ve even developed my own routines for single life. Yet, at this age, despite the freedom and ease of living alone, there’s one particular challenge that remains—figuring out what to eat.

At some point, my wife stopped making beef bone soup before leaving the house. Maybe she thinks she’s done raising me, or perhaps she’s simply too tired to keep up the tradition. Or could it be a tearful attempt to draw out my latent potential, training me to adapt for any unexpected situation?

Last night’s dinner was braised mackerel made with canned fish. It turned out to be a surprisingly satisfying meal. I followed a recipe I had specifically requested from my wife in Arizona.

Generally, I avoid eating fish or crab because I find it tedious to pick through the bones. However, canned fish is one of my favorites because the bones are so soft that you can chew and eat them. The problem with making braised fish, though, is the hassle of preparing the seasoning and simmering it.

But, inspired by the lesson from the marshmallow story about the art of waiting and savoring, I resisted my hunger and began cooking.

First, I sliced an onion and spread it on the bottom of an earthenware pot. Then, I opened a can of mackerel and poured it in. The issue arose with the seasoned soy sauce—I found it too bothersome to prepare.

Then, an idea struck me. After all, our brains exist for problem-solving. I remembered the perilla leaves simmered in soy sauce that were sitting in the fridge. I scooped out some of that soy sauce and poured it into the pot, adding red pepper powder and minced garlic.

I simmered it over low heat for 15 minutes.

Fifteen minutes worked magic—a miracle of time.

I couldn’t believe the taste. I had created something astonishing. I was completely taken in by this culinary miracle.

The result of enduring 15 minutes of hunger was braised mackerel so delicious that I ended up eating two bowls of rice with it.


In the marshmallow story, waiting and patience led to a slimmer physique and social success. But in my braised mackerel story, the conclusion seems to be hea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The dish was so tasty that I overindulged and now have to worry about gaining weight.

Waited for marshmallows and became slim? Nonsense!

From today, like a rhinoceros horn, I’ll follow my own path—my way.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받은 최고의 선물 - 손녀의 빈 손(Years ago)  (1) 2025.01.06
**"카페 소스페소" (Caffè Sospeso)**  (7) 2025.01.04
참된 피난처  (3) 2024.12.25
Sadie의 표정 연기  (1) 2024.12.22
Family Gathering Day 1  (1)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