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아버님은 다 알고 계셨다

아버님은 다 알고 계셨다

1. 아버님의 조청

아내는 지난해 장모님이 병원에 입원했다 퇴원하신 이후로

일주일에 며칠 동안을 장인 장모님의 집에서 꼬박 장모님과 지냈다.

아내의 다른 형제들도 교대로 장모님 곁을 지켰다.

 

일월 중순 어머님이 세상을 뜨신 이후로는

아내의 형제들이 번갈아 가면서 혼자되신 아버님의 밤을 한 지붕 아래서 지켜 드린다.

나도 일주일이나 이주일에 한 번씩 아내와 함께 아버님을 찾아뵙는다.

저녁에 함께 성무일도를 바치고, 한 밤을 지내고 나서 다시 아침에 성무일도를 바치고 나면

우리의 당직의 임무는 완수된다.

아버님은 혼자서 식사를 다 해결하신다.

다른 자식들이 당번일 때는 아침 식사도 손수 마련해 주신다.

그리고 우리가 아버님 집을 떠나기 전에 아버님은 외출을 하신다.

아들들이 운영하는 사무실(창고)에 들려 일손을 거들기도 하시고

친구분(들)과 만나 골프 연습을 하시기도 한다.

점심식사도 보통 친구분들과 하신다.

오후에는 집에서 이런저런 공부를 하시거나 글을 쓰는 일로 소일을 하신다.

(이미 몇 권에 걸쳐 자서전을 쓰셨다.) 

 

한 달 전이었든가, 아버님께서 비타민 약병 같은 데서

티스푼으로 꿀 같은 것을 떠서 잡수시는 걸 목격하게 되었다.

내가 의아한 눈짓을 보내는 걸 감지하신 아버님은 

"이건 조청이야, 김신부님이 보내주신."

김신부님은 프란치스코 회 소속의 신부님이신데 뉴저지에서 농사를 지으신다.

 

아버님은 그 조청이 김 신부님 농장에서 무청을 고아서 만든 것인데

가래 없애는데 직방이라며 목청을 높이셨다.

말씀은 하지 않으셨지만 무척 귀한 것임에 틀림없음을 

바보천치가 아니고는 모를 수는 없는 일이었다.

 

나는 조청이라는 말을 듣고 주책맞게 입에 흥건히 침이 고였다.

내 어릴 적에도 조청은 쉽게 접할 수 없는 것이었다.

설 같은 명절에 노릿노릿 구운 가래떡을 찍어먹던 기억이 나면서

입 안에 고였던 침이 목구멍으로 꿀떡하고 넘어가는 걸 느꼈다.

그 기가 막힌 단 맛의 기억이 온몸으로 퍼져나가는 것 같았다.

조청을 탐내는 내 마음을 들키지 않았을까 하는 조바심이 났다.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 평소 집에서 하는 맨몸 운동을 하다가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컵을 찾다 보니

전 날 저녁 아버님께서 드시던 조청이 들어 있는 병이 내 눈으로 빨려 들어왔다.

아버님은 아직 일어나신 기척이 없었다.

"옳지, 때는 요 때다."

나는 조청 병의 뚜껑을 황급히 열고 물 컵 옆에 있던 티 스푼을 조청 속으로 푹 담갔다.

가능한 많은 조청이 티 스푼에 담길 수 있도록 욕심을 낸 것이었다.

그리고 입 속으로 조청을 가져가려 하는데 야속하게도 조청의 꼬리가 잘 끊어지지 않았다.

스푼에 잘 끊어지지 않는 조청의 꼬리를 돌돌 말아 신속하게 입 속에 넣었다.

 

선악과를 따 먹던 아담과 이브의 마음이 그랬을까?

아버님이 애지중지 아껴 드시는 조청을 몰래 훔쳐 먹는 스릴 때문인지

조청의 단 맛이 그리 황홀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예상하지 못했는데 , 입 속에서 조청이 녹아가는 순간에 아버님이 부엌에 등장하셨다.

"아뿔싸!"

아버님의 조청을 훔쳐 먹는 현장범이 될 판이었다.

나는 재빨리 몸을 돌려 티스푼을 곁에 있는 식탁 위에 슬그머니 올려놓고 시치미를 떼었다.

입 속의 조청 때문에 "아버님 안녕히 주무셨어요?"라는 인사말을 생략한 채,

고개만 숙여 아침 인사를 드렸다.

나는 완전범죄를 의심하지 않았다.

그런데 잠시 후에 아버님의 음성이 들렸다.

"누가 여기 티스푼 썼어? 세 개가 있어야 하는데 두 개 밖에 보이질 않네."

내 가슴이 두근거렸다.

나는 더듬거리며 "제가 쓰고 식탁 위에 올려놓았어요. 씻어서 제 자리에 놓을게요."

그렇게 아버님의 조청을 훔쳐 먹은 사건은 일단락이 난 듯했다.

 

그다음 주에 아내와 함께 아버님 댁을 방문했다.

조청을 훔쳐 먹을 생각에 조금 흥분이 되었다.

그런데 내 관심사인 조청이 담긴 병이 보이지 않았다.

"벌써 조청을 다 드셨나?, 아니면 어디 숨겨 놓으셨나?"

조청을 먹을 수 없다는 생각 때문에 조금 실망이 되었다.

저녁 기도 전에 아버님이 날 부르셨다.

냉장고 문을 여시 더니 조청이 담긴 병을 꺼내셨다.

아버님은 티스푼을 내게 건네며

"소영(큰딸 이름) 아빠, 조청 한 숟가락 먹어봐. 날이 더워져서 조청이 너무 묽어질까 봐 냉장고에 넣어 두었어, "

 

"아뿔싸! 아버님은 다 알고 계셨던 것이다."

 

사라진 줄 알았던 조청이 다시 내 눈앞에 나타난 것을 기뻐해야 할지 아니면 슬퍼해야 할지 몰랐다.

확실한 건 조청맛이 처음에 훔쳐 먹을 때 만큼 단 것 같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Father-in-law Knew All Along – The Sacred Rice Syrup Chronicles

After my mother-in-law came home from the hospital last year, my wife pretty much turned into a weekday roommate at her parents’ place — tending to her mom with the devotion of a nun on a mission from heaven. Her siblings also took turns, like some spiritual caregiving relay team.

Then came January. My mother-in-law passed away. But the caregiving didn't stop — it just shifted to their father, now living alone. My wife still takes her weekly turn, and I tag along every other week. Our “duties” include a round of evening prayer, a righteous overnight stay, and morning devotions. After that, our holy night shift is complete, and we’re free to retreat like monks after matins.

 

Now, my father-in-law — for all his years — is a surprisingly independent gentleman.

He cooks for himself and even fixes breakfast for whichever lucky kids are on “duty.”

Once we leave, he’s off again — sometimes to his sons’ office, other times to a driving range with his golf buddies. He lunches with friends, then comes home to write — he’s written volumes of autobiography that are basically our family’s very own Britannica.

One day, I spotted him quietly scooping something from a little bottle. It looked thick, sticky — maybe some kind of health tonic? I squinted. He caught my look and said solemnly, “It’s jocheong. Father Kim sent it.”

Turns out, Father Kim — a Franciscan priest turned full time farmer in New Jersey — brews this divine concoction by boiling down radish greens. According to my father-in-law, it works miracles on phlegm — a remedy straight from heaven, blessed by both theology and gardening.

He didn’t need to say it, but you could tell — this syrup was precious. I wasn’t born yesterday; I knew it was precious. Just hearing the word “jocheong” made my mouth water like Niagara Falls. Childhood memories rushed in — of roasted rice cakes dipped in that golden nectar.

The next morning, while stretching and looking for a drink of water, I saw it. The sacred bottle. Sitting alone on the kitchen counter. The house was quiet. Father-in-law was still asleep.

This... was my moment.

Like a thief in the temple, I snatched the bottle, popped the lid, and dipped in a spoon — deep. I wanted the motherlode. But the syrup clung stubbornly, like a toddler on the first day of preschool. I had to twirl and swirl just to coax it onto the spoon and finally into my mouth.

The forbidden sweetness hit my tongue. Pure joy. I thought, So this is what Adam and Eve felt like. That extra thrill — knowing I wasn’t supposed to have it — made it even sweeter.

And then… 

Father-in-law showed up .

Busted. Syrup still on my lips.

I turned my back and pretended to examine the table like it held ancient secrets. My usual “Good morning” turned into an awkward nod — the syrup had practically glued my mouth shut anyway.

I thought I’d gotten away with it.

But then he spoke.

“Hm… there were three spoons. Now only two.”

My heart skipped a beat. Or five.

“Oh, uh… I used one. It’s on the table. I’ll wash it,” I muttered.

That was that. Or so I thought.

Next week, we returned for another sacred night shift. I secretly hoped the syrup was still around.

But it was gone.

“Did he finish it? Or… hide it?”

I tried to look casual, but my soul deflated just a little. Then, right before evening prayer, Father-in-law called me over. He opened the fridge, pulled out the bottle, and handed me a spoon.

“Here — have a scoop. I put it in the fridge so it wouldn’t go runny in this heat.”

Boom.

Father knew all along.

Was I happy the syrup was back? Or embarrassed that I’d been caught?

Hard to say.

One thing’s for sure:
It didn’t taste quite as sweet the second time — not without the thrill of being bad.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산책 - 흑백 tv (2018 년)  (3) 2025.06.13
사랑하는 Stella와 Brian에게  (0) 2025.06.13
우리집 금낭화(2013 년)  (1) 2025.06.11
이제와 새삼 이 나이에 - 자랑질  (3) 2025.06.11
(큰)딸 vs 손녀딸  (2) 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