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벽, 강가에서

 

새벽강은 얼마만큼 깊은 소리로

흘러가고 있을까

 

대학 3학년 때 처음으로 찾은 내 고향 영월,

밤새 강물 소리는 내가 누운 방으로 끊임 없이

흘러들었다.

그날 밤 내 잠 속은

온통 강물 소리로 홍수를 이루었다.

 

내 핏줄 속을 흐르는 강물 소리

늘 강물소리가 그립다.

강을 옆에 두고도----

 

 

강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등은 어둡다.

이미 강에서 돌아오는 사람들의 머리엔

햇살이 묻어온다.

 

"아침은 강으로 부터 시작된다. "

라고 말할 수 있을까

 

 

 

갈대밭이 끝나며 전개되는 강의 모습

 

오늘은 갯벌이 드러났다.

그 언젠가 배가 닿던 시절의 잔재로 보이는 나무 말뚝도

눈에 들어온다.

 

아무런 의미 없이 때론 물 속에 잠겨 있는

저 나무 말뚝에 햇살이 와 닿았다.

햇살이 만져도

새로이 눈뜨지 못하는 존재가 맞는 아침도

아침이라 할 수 있을까.

 

때로 아침도 슬픔일 것 같다.

 

 

 

 

강도 나이를 먹는다.

저 강물의 나이테

그러나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강의 나이테

공간이 아니라

시간 어디 쯤에 남아 있을 것 같다.

 

 

 

아침은 강에서 시작해 밀려오는 것일까

아니면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일까

 

높은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피라미처럼 빛나는 것이 보일 때

아침은 이미 시작되고

그 아침은 이제

 전깃줄에 내려 앉았다.

얼마후 다시 지상으로 내려올 것이다.

 

아침의 빛은 위로부터

내려온다.

 

 

강쪽으로 가다보니

온통 거위와 오리들이 길을 점령해버렸다.

아침 햇살을 받아

제 몸에 자신의 그림자를 드리운 이 오리.

 

내 몸 어디인가에도

천형처럼 드리워진

짙고 깊은

그림자가 있을 것이다.

 

오늘 새벽은 아프다.

 

 

 

강 깊은 쪽에 보이는

부두의 잔재들,

더 이상 아무런 쓸모가 없는-----

 

언제고

아침이 슬퍼지는 시간이 찾아올 것이다,

나에게도

 

 

저 파도도 아플까

보이는 나이테 하나 남기지 못하고 사그러드는

저 허무,

그래도 갚은 강물은

 

말이 없다

 

 

 

 

 

이 풀꽃을 보고 무서워졌다.

어린왕자의 첫 장면이던가,

모자 그림을 그려 놓고 어른들에게 무섭지 않냐고

묻던 어린 일인칭 나레이터.

내게 이 사진은

꽃잎이 다 떨어진 해골이

솜털 보송보송한

어린 몸에 달려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했다.

어린 왕자를 만나면

나도 어린왕자와 같이 이야기하며

놀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강으로 가는 길 열엔

이름 모르는 풀들이 나란히 자라고 있다.

왕자의 키스에 마법이 풀리고 눈을 뜨는 공주처럼

그렇게 햇살의 키스에

눈을 뜨는 아침

 

 

 

 

 

 

작은 바위섬과,

다리.

 

인간은 누구나

외로운 섬이 아닐까

 

섬 사이에 존재하는

 다리로 해서

'외로운'이라는 형용사를 뺄 수도 있는 존재

 

인간

 

 

 

햇살에

작은 곤충들도

빛의 속도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너무 햇살이 강해서

색들이 다 맥을 못춘다.

물에 반짝이는 햇살 같은 존재가

나에게도 있었던가

 

아, 그래

눈만 부신 것이 아니라

숨 까지도 턱턱 막히던----

 

그런 시간

 

 

 

 

 

 

 

 

 

 

 

새벽 강물 소리 들으러 강으로 갔다 집에 돌아오니

텃밭 주위엔 개망초가 청초하다.

 

 

 

 

 

다육이도 빠알갛게 볼이 달고----

 

강물 소리는 듣지도 못하고

햇살이 부리는 요술에 혹해서

풀꽃이며,새에 마음을 빼앗긴 새벽

 

강에 가서도

색에 취해서 보냈는데

 

집에 돌아와서도

색이주는 은근한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또 빠졌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다 공염불이 되고 말았다.

언제나 색이 주는 화려한 유혹에 빠지지 않고

깊은 강물소리 제대로 한번

들어볼꺼나